류조지 다카후사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류조지 다카후사는 1586년에 태어나 1607년에 사망한 인물로, 류조지 마사이에의 아들이자 사가 번의 명목상 지배자였다. 5세의 어린 나이에 가독을 상속받았으나, 실권은 나베시마 나오시게와 그의 아들 나베시마 가쓰시게에게 있었다. 류조지 가문은 히젠국의 지배권을 되찾으려 노력했지만, 조선 출병과 세키가하라 전투를 거치며 나베시마 가문의 지배가 강화되었다. 다카후사는 나베시마 나오시게의 손녀와 결혼하여 에도 막부에 종속되었고, 실권 상실에 분개하여 아내를 살해하고 자살을 시도했으나 실패했다. 이후 고향에서 자해하여 22세의 나이로 사망했으며, 그의 죽음은 류조지 가문의 몰락을 심화시켰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무라나카 류조지씨 - 류조지 마사이에
류조지 마사이에(1556년 ~ 1607년)는 센고쿠 시대부터 에도 시대 초기의 무장으로, 류조지 다카노부의 아들이며, 가독을 이었으나 실권은 나베시마 나오시게에게 넘어가고, 히젠 7군을 영지로 받았으나 불만을 품었으며, 병약하여 나베시마 나오시게를 양자로 삼아 류조지 본가가 단절되었다. - 무라나카 류조지씨 - 류조지 다카노부
류조지 다카노부는 센고쿠 시대 히젠국의 슈고 다이묘로, 몰락했던 류조지 가문을 재흥시키고 히젠 대부분을 정복했으나, 오키타나와테 전투에서 시마즈 씨에게 패배하여 전사했다. - 사가번주 - 나베시마 나오마사
나베시마 나오마사는 막말에서 메이지 유신기에 사가 번의 번정 개혁과 근대화를 주도하며 재정 개혁, 서양 기술 도입, 천연두 예방 접종 도입, 정치적 중립, 신정부 수립 참여 등의 업적을 남긴 사가 번 제10대 번주이다. - 사가번주 - 나베시마 가쓰시게
나베시마 가쓰시게는 아즈치모모야마 시대부터 에도 시대 초기의 무장이자 다이묘로, 세키가하라 전투에서 동군으로 전향, 사가 번주가 되어 번정의 기틀을 다지고 나베시마 가문으로의 정권 이양을 추진했으며, 오사카 전투, 시마바라의 난 참전, 간척 사업 추진, 사가성 축성 등으로 사가번의 통치 기반을 강화했다. - 1607년 사망 - 유키 히데야스
유키 히데야스는 도쿠가와 이에야스의 차남으로 태어나 도요토미 히데요시에게 양자로 보내졌으며, 유키 가문의 가독을 잇고 세키가하라 전투 이후 에치젠의 영주가 되었다. - 1607년 사망 - 루스 마사카게
루스 마사카게는 다테 하루무네의 아들로 태어나 루스 씨를 계승한 무장으로, 다테 씨를 도와 세력 확장에 기여했으며 세키가하라 전투에서 다테 군 총대장으로 활약했고, 이후 다테 씨 일문으로 합류하여 이치노세키 2만 석을 받았다.
류조지 다카후사 | |
---|---|
기본 정보 | |
씨명 | 류조지 씨 |
이름 | 류조지 다카후사 |
![]() | |
시대 | 아즈치모모야마 시대 - 에도 시대 초기 |
출생 | 덴쇼 14년 (1586년) |
사망 | 게이초 12년 9월 6일 (1607년10월 26일) |
어릴적 이름 | 나가호시마루 |
통칭 | 도하치로 |
계명 | 대룡원전천우종춘대거사 |
묘소 | 사가현사가시 다부세의 덴유지 사가현 사가시 혼조마치의 고덴지 |
관위 | 종오위스루가노카미 |
막부 | 에도 막부 |
주군 | 도요토미 히데요시 → 도요토미 히데요리 → 도쿠가와 이에야스 → 도쿠가와 히데타다 |
번 | 히젠국사가 번 번주 |
가족 관계 | |
아버지 | 류조지 마사이 |
어머니 | 불상세 |
양아버지 | 나베시마 나오시게 |
형제자매 | 아히메, 쇼주인, 다카후사, 하타 야타로, 무라타 야스요시, 사노 마사요시, 이누즈카 이에시게, 나베시마 다카아키 실 |
배우자 | 나베시마 나오시게의 양녀・瑞祥院|즈이쇼인 (나베시마 씨) |
자녀 | 류조지 스케아키라 |
2. 생애
1586년 류조지 마사이에의 넷째 아들로 태어나, 1590년 불과 5세의 나이로 가독을 상속받았다. 그러나 사가번의 실권은 도요토미 히데요시의 승인 아래 중신인 나베시마 나오시게와 그의 아들 가쓰시게에게 있었다. 당시 사가번은 류조지 씨가 명목상 지배하고, 나베시마 씨가 실권을 쥐는 잠정적인 이중 통치 체제였다.
마사이에는 류조지 가문의 히젠 지배권을 되찾기 위해 여러 조치를 취했으나, 조선 출병과 세키가하라 전투[6] 등을 거치면서 나베시마 씨의 히젠 지배는 더욱 공고해졌다.
게이초 12년(1607년), 다카후사는 나베시마 씨에게 실권을 빼앗긴 것에 분개하여 아내를 살해하고 자신도 할복 자살을 시도했으나 실패했다. 그는 상처를 치료하기 위해 히젠으로 돌아왔지만, 고향에서 다시 자해를 시도하여 22세의 나이로 사망했다.
다카후사가 사망하고 불과 1개월 후, 아버지 마사이에 역시 급사했다. 막부는 사가번 류조지 가문의 가독에 대해 류조지 일문에게 물었으나, 일문은 가쓰시게가 사가번을 잇기에 적합하다고 대답했다. 결국 가쓰시게가 류조지 가문의 가독을 잇는 형태로 사가번 357000석을 차지하게 되었다. 다카후사의 유아[8] 하쿠안은 류조지 씨의 당주로서 히젠 사가번을 나베시마 씨에게서 되찾기 위해 여러 번 막부에 호소했지만, 결국 받아들여지지 않았다.
2. 1. 출생과 가독 상속
1586년 류조지 마사이에의 넷째 아들로 태어났다.아버지 마사이에가 병약했기 때문에 1590년에 불과 5세의 나이로 가독을 상속받았다. 그러나 사가번의 실권은 도요토미 히데요시의 승인 아래 중신인 나베시마 나오시게와 그의 아들 가쓰시게에게 쥐어졌다. 당시 사가번은 류조지 씨가 명목상 지배하고, 나베시마 씨가 실권을 쥐는 잠정적인 이중 통치 체제였다. 류조지 마사이에에게는 하시바 성과 도요토미 성이 모두 주어졌지만, 나베시마 나오시게와 가쓰시게에게는 도요토미 성만 주어졌다. 후에 다카후사도 하시바 성을 받았다.[5]
마사이에는 류조지 가문의 히젠 지배권을 되찾기 위해 다카후사가 성인이 된 후 번의 정치를 다카후사에게 맡긴다는 내용의 신청서를 나오시게에게 쓰게 하고, 다카후사를 나오시게의 양자로 삼는 등의 조치를 취했다. 그러나 조선 출병과 세키가하라 전투[6] 등을 거치면서 나베시마 씨의 히젠 지배는 더욱 공고해졌고, 이러한 조치들은 실질적인 의미를 잃었다.
2. 2. 나베시마 가문과의 권력 투쟁
도요토미 히데요시의 승인 아래 사가번의 실권을 장악한 나베시마 나오시게와 가쓰시게 부자와의 권력 암투는 다음과 같이 요약될 수 있다.류조지 마사이에를 비롯한 류조지 일문은 히젠국의 지배권을 류조지 가문에게 되돌리기 위해 여러 노력을 기울였다. 다카후사가 성인이 된 후 번의 정치를 다카후사에게 돌려준다는 내용의 신청 글을 나오시게에게 쓰게 하고, 다카후사를 나오시게의 양자로 삼는 등의 조치를 취했다.[5] 그러나 이러한 노력은 조선 출병(임진왜란, 정유재란)과 세키가하라 전투[6] 등을 거치면서 나베시마 가문의 히젠 지배가 더욱 공고해짐에 따라 실질적인 의미를 잃게 되었다.
다카후사는 나오시게의 손녀를 아내로 맞이하여 쇼다이부[7]로서 에도 막부에 종속되는 신세가 되었고, 도쿠가와 이에야스의 인질이 되었다. 게이초 12년(1607년), 다카후사는 나베시마 가문에게 실권을 빼앗긴 것에 분개하고 실망하여 아내를 살해하고 자신도 할복 자살을 시도했으나 실패했다. 그는 상처를 치료하기 위해 히젠으로 돌아왔지만, 고향에서 다시 자해를 시도하여 22세의 나이로 사망했다.
다카후사가 사망하고 불과 1개월 후, 히젠에 은거하고 있던 아버지 마사이에 역시 급사했다. 막부는 사가번 류조지 가문의 가독에 대해 류조지 일문에게 물었으나, 일문은 가쓰시게가 사가번을 잇기에 적합하다고 대답했다. 결국 가쓰시게가 류조지 가문의 가독을 잇는 형태로 사가번 35만 7천 석을 차지하게 되었다.
다카후사의 유아[8]인 하쿠안은 류조지 스에아키라를 자처하며 류조지 가문의 당주로서 히젠 사가번을 나베시마 가문으로부터 되찾기 위해 여러 번 막부에 호소했지만, 결국 받아들여지지 않았다.
2. 3. 비극적 최후
게이초 12년(1607년), 나베시마 씨에게 실권을 빼앗긴 것에 분개하고 절망하여 아내를 살해하고 자신도 할복 자살을 시도했으나 실패했다.[5] 그 당시의 상처를 치료하기 위해 히젠으로 돌아가는 것을 허락받았지만, 고향에서 다시 자해를 시도하여 22세의 나이로 사망했다.[5]이 사건으로 인해 나베시마 나오시게는 강한 불쾌감을 나타냈고, 아버지 마사이에에게 "원망의 편지"라고 칭하는 서신을 보내 규탄했다.[5] 부당하게 살해된 정실의 친가 이시이 가문도 반발하여, 그 유골 인수를 강력하게 요구하고, 류조지 씨 묘지에 장례하는 것을 거부했다.[5] 이로 인해 류조지 씨는 주군으로서 가신단으로부터 신망을 크게 잃게 되었다.[5]
다카후사가 사망하고 불과 1개월 후, 히젠에 은거하고 있던 아버지 마사이에도 급사했다.[5] 막부는 사가번 류조지 가문의 가독에 대해 류조지 일문에게 질문했지만, 일문은 가쓰시게가 사가번을 잇기에 적합하다고 대답했다.[5] 결국 가쓰시게가 류조지 가문의 가독을 잇는 형태로 사가 번 35만 7천 석을 차지하게 되었다.[5] 나베시마 씨 사가번에서는 다카후사의 동생 야스라가 류조지 종가로 취급되었지만, 무라타로 개성하고 자손은 막말까지 나베시마 씨를 섬겼다.[5]
다카후사의 유아[8] 하쿠안은 류조지 씨의 당주로서 히젠 사가번을 나베시마 씨에게서 되찾기 위해 여러 번 막부에 호소했지만, 결국 받아들여지지 않았다.[5]
2. 4. 사후
다카후사가 사망하고 불과 1개월 후, 히젠에서 은거하던 아버지 마사이에 역시 급사하였다. 막부는 사가번 류조지 가문의 가독에 대해 류조지 일문을 불러 질문했지만, 일문은 가쓰시게가 사가번을 잇기에 적합하다고 대답했다. 결국 가쓰시게가 류조지 가문의 가독을 잇는 형태로 사가 번 35만 7천 석을 차지하게 되었다.[4]나베시마씨의 사가번에서는 다카후사의 동생 야스라가 류조지 종가로 취급되었지만, 무라타로 개성한 후 그 자손은 막말까지 나베시마씨를 섬겼다. 다카후사의 유아[4]였던 하쿠안은 류조지씨의 당주로서 히젠 사가번을 나베시마씨로부터 되찾기 위해 여러 차례 막부에 소를 제기했지만, 결국 받아들여지지 않았다.
3. 족보
항목 | 내용 |
---|---|
부친 | 류조지 마사이에 (1556 ~ 1607) |
모친 | 미상 |
양부 | 나베시마 나오시게 (1538 ~ 1618) |
정실1 | 즈이코인 (생년 미상 ~ 1607) - 나베시마 나오시게의 양녀, 나베시마 시게루의 이장녀 |
정실2 | 즈이쇼인 (?-1607) - 나베시마 나오시게의 양녀, 나베시마 시게사토의 장녀 |
생모 불명의 자녀 | |
장남 | 류조지 스에아키 - 하쿠안 |
차남 | 류조지 계명 - 하쿠안(伯庵) |
참조
[1]
서적
日本近世武家政権論
近代文芸社
[2]
문서
関ヶ原の戦いでは高房も鍋島勝茂と共に4500の兵を率いて西軍に属し、[[伏見城]]攻撃に参加している。
[3]
문서
従五位下駿河守に任官。
[4]
문서
庶子であり、高房自身もその存在を知らなかったとされる。
[5]
서적
일본 근세 무가 정권론
근대 문예사
[6]
문서
세키가하라 전투에서는 다카후사도 나베시마 가쓰시게와 함께 4500의 군사를 이끌고 서군에 속해, [[후시미성]] 공격에 참가했다.
[7]
문서
종5위 시모스루가 마모루에 임관.
[8]
문서
서자이며, 다카후사 자신도 그 존재를 몰랐던 것으로 여겨진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